제 8회 JAPAN TO GLOBAL 판교 부트 캠프

조회수 1159


제8회 재팬투글로벌 부트캠프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 기업들의 일본 시장 진출 전략과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소중한 자리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자신들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나누었습니다. 특히 AI, 보안, 물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일본 시장의 특성과 진출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한국 기업들은 규모가 큰 일본 시장을 전략적 교두보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부트캠프에서는 일본 시장 진출 시 직면하는 도전과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 그리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일본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접근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례들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JIRAN FAMILY (https://www.jiran.com)

오치영 CDO

일본 진출 전략과 비전

지란지교패밀리의 오치영 CDO는 제8회 재팬투글로벌 부트캠프를 통해 한국과 일본 기업 간의 협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오 CDO는 30년간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경험과 20년간의 일본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들이 일본 시장을 발판 삼아 세계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치영 CDO는 한국 시장이 일본 시장의 1/6 수준에 불과한 규모적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일본을 글로벌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지리적 근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이라는 이점을 살려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후 세계 시장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한국의 빠른 실행력과 일본의 뛰어난 품질 관리가 결합되면 단순한 합 이상의 폭발적인 시너지(1+1=5)를 창출할 수 있으며, 양국 기업 간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사례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채널코퍼레이션 (https://channel.io/ko)

최시원 대표이사

"일본에서 배운 다이렉트 세일즈"

채널코퍼레이션의 최시원 대표이사는 B2B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일즈라고 강조하며, 일본 시장에서 다이렉트 세일즈를 통해 성공을 거둔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그는 초기에는 파트너 영업이 중요하다고 들었지만, 오히려 직접 아웃바운드 콜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매출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최시원 대표는 일본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콜드콜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한 달에 250개의 영업 미팅을 성사시키고 월 6억 원의 신규 ARR을 달성했습니다. 그는 일본의 키엔스라는 회사의 사례를 들며, 철저한 액션 관리와 프로세스 디자인이 다이렉트 세일즈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세일즈 관리는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며, 누구나 쉽게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일본 시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체계적인 다이렉트 세일즈 전략과 철저한 액션 관리가 결합될 때 놀라운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음을 입증했으며, 이러한 방식이 한국 기업들의 일본 시장 진출에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LIONICE (https://www.lionice.jp)

허성욱 대표

"라인웍스 일본시장 도전기(PART 5)"

LIONICE의 허성욱 대표이사는 라인웍스의 일본 시장 도전기를 5번째 발표하며, 일본 시장 진출의 어려움과 성공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습니다. 그는 네이버 메일 서비스 본부에서 분사한 200명의 인력과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장에서 B2B 서비스를 성공시키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습니다.

허성욱 대표는 일본 시장의 특성상 그룹사 내 협력, 대리점 계약, 시스템 연동 등에 예상보다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시장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 요구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충분한 투자와 인내심, 그리고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시장이 한국 시장보다 규모는 크지만 진입 장벽도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일본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의 경험치보다 3배 이상의 노력과 시간 투자가 필요하며,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현지 비즈니스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 요소라고 조언했습니다.


이어서 참가 기업들의 소개 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각 기업은 자사의 사업 영역과 비전, 전략을 공유하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특히 이번 회차에 처음 참석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소개가 이루어졌으며, 기존 참가 기업들의 소개는 이전 회차 기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JAPAN TO GLOBAL 판교 부트 캠프 살펴보기


스톤비(마호캐스트) (https://www.mahocast.com)

조윤상 대표이사

조윤상 대표는 일본에서 K팝 공연을 주최하는 스톤비(마호캐스트)를 이끌고 있으며, IT 기술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7년 일본 상장을 목표로 티켓 플랫폼, 팬클럽, 굿즈, 디지털 포토 티켓 등 IP 기반 다양한 비즈니스를 전개 중입니다.

특히 일본 특유의 티켓 응모 방식을 활용한 디지털 포토 티켓은 구매 심리를 자극해 새로운 수익원이 되고 있습니다. 스톤비는 K팝 IP를 기반으로 일본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영역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조윤상 대표는 일본 시장 진출의 어려움에 공감하면서도, 8년간의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일본 내 K팝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Nofty (https://nofty.team/)

한경욱 대표이사

Findy Inc (https://freelance.findy-code.io/)

SEITO TAKAHASHI Chief of Staff

Nofty의 한경욱 대표이사와 Findy Inc.의 SEITO TAKAHASHI Chief of Staff는 이번 행사에 참가하여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한 대표는 일본 스타트업 Findy가 한국 VC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고 한국 시장 진출을 준비 중임을 소개했습니다.

Findy는 HR 서비스와 B2B SaaS를 제공하며, 특히 DX 관련 엔지니어 채용 지원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타카하시 씨는 4월부터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어 학습에 집중할 예정이며, 서툰 한국어로 자기소개를 시도했습니다.

이들의 참여는 일본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며, 향후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지니언스 (https://www.genians.co.kr/)

이동범 대표이사

이동범 대표는 20년간 보안 솔루션 개발에 매진하여 500억 원의 매출과 100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한 지니언스의 성장 스토리를 소개했습니다. 국내 시장의 한계를 느끼고 2016년부터 미국 시장에 진출했으나, 한국과 다른 B2B 비즈니스 방식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미국 시장 진출 후 시행착오를 거쳐 2021년부터는 미국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현재 미국과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고객 지원을 위해 인도 벵갈루루에 테크니컬 지원센터를 설립했으며, B2B 기업임에도 B2C 접근방식으로 고객에게 다가가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일본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이며, 고객이 직접 제품을 체험하고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등 제품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VESSL AI (https://vessl.ai/ko)

안재만 대표이사

안재만 대표는 B2B AI 인프라 솔루션 소프트웨어 기업 VESSL AI를 소개하며, 3년 내 AI가 인간 역할을 대체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VESSL AI는 현재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작년에 22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최근 Chat GPT와 같은 AI 트렌드에 맞춰 기업들의 AI 도입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VESSL AI는 통합 AI 플랫폼과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여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일본 시장에서도 금융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며, 일본 진출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습니다.



더넥사 (https://www.thenexa.io/)

송하진 이사

송하진 이사는 가상자산 세금 신고 서비스 개발사 더넥사의 이사입니다. 국내 가상자산 과세 유예로 인해 급박하게 일본 진출을 준비 중이며, 일본 시장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학습하기 위해 참여했습니다.

더넥사는 국내외 주요 거래소 API 연동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 내역을 통합 관리하고 세금 신고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2월 10일에 출시했습니다.

향후 일본 내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하며, 이번 행사를 통해 실질적인 도움과 인사이트를 얻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루닛 (https://www.lunit.io/ko)

백승욱 이사회 의장

백승욱 의장은 AI 기업 루닛을 소개하며, 암 진단 및 치료 AI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 중임을 설명했습니다. 2022년 코스닥 상장 후 2024년 545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후지필름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최근 파트너십 변화에 따라 일본 시장 직접 진출을 결정하고 일본 법인을 설립했으며, 조경식 팀장을 대표로 임명해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백승욱 의장은 일본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하며, 참석자들의 조언과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모두싸인 (https://modusign.co.kr/)

이영준 대표이사

이영준 대표는 전자계약 서비스 모두사인을 통해 계약 프로세스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현재 약 30만 기업이 서비스를 이용 중입니다. 그는 전자계약이 아직 1% 미만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는 현실에 아쉬움을 표하며, 일본 시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전자계약 확산의 장애물로 한국, 일본, 대만의 인감 증명서 제도를 언급하면서도, 일본 관공서의 전자계약 도입 사례에서 영감을 얻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공공 분야, HR 계약, 동의서 등 다양한 영역과 계약 전후 과정의 문제 해결에 AI 기술을 활용하는 혁신을 모색 중입니다.

향후 일본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점유율 확보를 위한 전략을 구상하며, 일본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도전을 통해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비컨 (https://withbecon.com/)

박민석 대표이사

비컨의 박민석 대표는 ICT AI 기반 분석 솔루션으로 병원, 클리닉, 살롱, 스파, 에스테틱 등 B2B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고객 분석부터 제품 추천, CRM, 마케팅 툴까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AI를 통해 주관적 판단을 자동화하고 맞춤형 제품을 제안해 고객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2019년 삼성전자 C랩에서 출발한 이 서비스는 두피, 탈모, 피부까지 관리하는 통합 솔루션으로 발전했으며, 작년 첫 판매에서 약 2천 곳에 납품하여 3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박민석 대표는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미국에 지사를 설립해 운영 중이며, 이번 행사를 통해 일본 시장 진출 전략을 학습하고 확장 방안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엔키화이트햇 (https://www.enki.co.kr/)

이성권 대표이사

엔키화이트햇 이성권 대표는 10년 차 스타트업으로, 젊은 화이트 해커들을 중심으로 공격적 보안(침투 테스트, 악성코드 분석 등) 서비스를 제공해 왔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오펜ASM(공격 대상 관리 솔루션), 오펜피타스(구독형 침투 테스트), 보안 교육 및 훈련 플랫폼 등의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영업 인력은 부족하지만, 젊은 직원들의 우수한 역량으로 매출에는 큰 영향이 없으며, 서비스 기반 세일즈에 집중하고 IPO를 준비 중입니다. 과거 미국, 중국 창업 경험을 토대로 글로벌 전략을 구상 중이며, 일본 시장은 어렵다고 생각했으나 최근 성공 사례와 지인의 권유로 진출을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이성권 대표는 일본 시장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일본어 가능 화이트 해커와 함께 참석해 일본 시장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합니다.



테크타카 (https://www.argoport.com/)

양수영 대표이사

양수영 대표는 글로벌 물류 플랫폼 테크타카를 소개하며, 아마존 AWS와 쿠팡에서의 물류 시스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2020년 창업해 마켓컬리와 네이버에 물류 시스템을 공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테크타카는 네이버 풀필먼트 얼라이언스에 참여해 앤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작년 12월에는 미국 LA에 물류 센터를 오픈하고 미국 지사를 설립해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셀러들의 해외 수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 내 창고를 통해 아마존 외 다양한 플랫폼 판매를 돕고 있습니다. 2분기에는 일본 법인 설립과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한테크 (http://han-tech.kr/)

김병준 대표이사

김병준 대표는 AI 스타트업 한테크를 소개하며, 엣지 AI 기술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인터넷 연결 없이 작동하는 AI 기술을 개발해 교통, 주차, 재난 안전 등 여러 영역에 적용하고 있으며, 개인 사업자로서 외부 투자 없이 자체적으로 기술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일본 시장 진출을 준비하며, 개인화된 AI 기술에서 일본의 세밀함을 학습하고 제품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올해 초 일본 법인을 설립해 히타치, NEC, 나고야 시청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며, 레퍼런스 구축을 통해 신뢰를 형성하고 성장할 계획입니다.

일본 시장에서 디테일을 배워 개인화 AI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며, 일본 법인을 통해 체계적인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토스랩 (https://team.tosslab.com/)

김대현 대표이사

(주)토스랩 김대현 대표는 협업 툴 '잔디'를 제공하는 토스랩을 소개하며, 국내 시장 경험을 기반으로 AI 협업 툴로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대만에서는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대리점 비즈니스를 통해 고객을 확보한 경험을 토대로 일본 시장 진출 시기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김대현 대표는 라인웍스 등 경쟁 서비스의 존재를 고려해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으며, 오치영 CDO와 최시원 채널 대표의 도움으로 이번 행사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번 기회를 통해 일본 시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참가자들의 경험에서 배우고 싶다는 의지를 표현했습니다.



글래스돔코리아 (https://glassdome.com/ko/)

함진기 대표이사

글래스돔코리아 함진기 대표는 탄소 규제 관련 기업들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 발자국 측정 및 관리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유럽과 베트남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미쓰비시 전기와의 협력을 통해 일본 시장 진출 경험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함 대표는 일본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이번 행사에 참여해, 규제 대응 솔루션과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 기회를 탐색하고자 합니다.

글래스돔코리아는 탄소 배출량 감축이라는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여, 일본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솔루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넵튠클라우드 (https://www.nptn.io/)

유승학 대표이사

넵튠클라우드의 유승학 대표는 현재 지란 패밀리 내에서 기업 내부용 AI 플랫폼 구축 PM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4년간 스타트업 대표로 노코드 LMM 기반 API/앱 빌드 서비스를 운영했습니다. 그는 포스코인터내셔널에서 10년간 원자재 트레이딩을 통해 3조 원의 매출을 달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간 거래 소프트웨어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창업했습니다.

주로 동남아시아 거래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일본과의 거래에서도 긍정적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는 1인 기업으로 프로덕트를 개발 중이며, 인재 확보나 해외 진출에 도움이 필요한 기업들과 언제든 협력할 의사가 있음을 표명했습니다.

유승학 대표는 AI 플랫폼 구축 PM으로서의 현 역할과 창업 경험, 그리고 포스코인터내셔널에서의 경력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넵튠클라우드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링크플로우 (https://linkflow.co.kr/ko)

김용국 대표이사

링크플로우 김용국 대표는 삼성전자에서 분사한 웨어러블 카메라 기업으로, 360도 카메라로 VR 시장을 목표했으나 시장 부진으로 방향을 전환했습니다. 디바이스 내 MPU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형태로 웨어러블 카메라를 개발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얼굴 모자이크 수요가 있는 국내 관공서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본 경찰청과 시범 사업을 진행했으며, 대주주인 일본 카메라 회사와 협력해 일본 경찰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 성공 경험을 토대로 일본 시장에서도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전략적 피벗을 통해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카메라 분야에서 혁신 기술과 솔루션으로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애프터컴퍼니 (https://www.aftercompany.co.kr/)

박재연 대표이사

애프터컴퍼니 박재연 대표는 브랜드 전용 포스(POS) 운영사인 FTA를 소개하며, 재고, ERP, 포스를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했습니다. 특히 패션, 가구, 소품 등 다양한 품목 취급에 특화되어 있으며, 온오프라인 운영에 필요한 ERP와 WMS, OMS 연동을 지원합니다.

일본 진출을 고려하게 된 배경은 패션 업계 고객사들의 일본 진출 시도에 발맞춰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며, 이번 행사를 통해 일본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기대를 표현했습니다.





제8회 재팬투글로벌 부트캠프는 한국 기업들의 일본 시장 진출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전략을 공유하는 소중한 자리였습니다. 참가 기업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일본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고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일본 시장은 규모가 크지만 진입 장벽이 높아 한국에서의 경험보다 3배 이상의 노력과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성공적인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와 인내심, 그리고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부트캠프를 통해 한국과 일본 기업 간의 협력 가능성이 더욱 확대되었으며, 양국의 강점을 결합한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참가 기업들은 일본 시장을 글로벌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하여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는 비전을 공유했으며, 향후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재팬투글로벌 부트캠프는 앞으로도 한국과 일본 기업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양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12 0

오치영
Oh Dream Officer
ocy@jiran.com

오디오방 구독하기

당신의 관심사에 정보력을 강화하세요. 

B2B SaaS, 일본 비지니스 뉴스, IT 분야에서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당신에게 전해집니다. 

이메일을 쓰고 구독 버튼 누르기, 아주 간단한 동작이 

당신 삶에 다른 모멘텀을 제공할 것입니다.

지란을 끌고 가는 힘과 문화는 Dream, Challenge, Keep Going!
이것이 ODO 방을 통해서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