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상식이 되는 가구 온라인 쇼핑
전자상거래(EC) 시장은 놀라운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EC가 시작된 당초에는 주로 책과 같은 소비 기한이 없고 파손될 우려가 없는 상품이 거래되었지만, 지금은 가구와 같은 큰 상품까지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구 온라인 시장 성장에 박차를 가하는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최근에는 가구 같은 인테리어 상품도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구와 인테리어 상품은 비교적 비싸고 메이커나 품질도 다양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직접 상품을 보고 나서 구입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만, 최근에는 그 경향이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으로 인해 홈 인테리어의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1000만회 다운로드 수를 기록한 인테리어 앱
코로나등의 영향으로 홈 인테리어 브랜드의 성장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홈 인테리어 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오늘의 집 (Today House)”의 모바일 앱은 4월 현재 1000만회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에서 1000만회의 다운로드수는 플랫폼으로서의 성공을 상징하는 숫자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만, 홈 인테리어 카테고리에서의 앱 다운로드수는 이것이 최초의 기록이 되었습니다. 오늘의 집 (Today House)의 경우, 등록자수도 5월의 시점에서 810만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오하우스(O!House) "란 무엇?
버킷 플레이스는 최근 일본에서 홈 커뮤니티 서비스 "오하우스 (O!House)의 시험 서비스를 발표했습니다. “오늘의 집(Today House)'의 일본어판입니다. 여러가지 패턴의 다양한 인테리어집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온라인 이사축하" 서비스에 가구판매를 연결하는 "오늘의 집(Today House)"은 “콘텐츠-커머스 모델"을 그대로 구현했습니다.

오늘의 집이란
오늘의 집은 이 대표가2014년 창업한 한국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 분야 앱입니다.
한국 내에서 "오늘의 집 (Today House)”이 유명해진 것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이용자 중심의”'온라인 이사 축하”가 '대히트'하고 나서입니다. 이용자가 개성적으로 장식한 자신의 집 사진을 직접 보여주면서 설명하는 콘텐츠로, 깨끗하게 장식한 집을 자랑하고 싶은 사람과, 다른 사람의 집을 구경하고 싶은 사람이 동시에 “오늘의 집(Today House) '에 모이게 되며 입소문으로 퍼졌습니다.
이 대표는 “처음엔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의 전문 콘텐츠를 공유하는 실험도 했지만, 가장 많은 사람들이 호응한 것은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어떻게 집을 꾸며 살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콘텐츠였다”고 말했습니다.
2016년에는 콘텐츠에 상거래 기능을 도입해서 온라인 이사 축하 사진 속 제품을 클릭하면 바로 구매까지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일반인의 일상적인 집 소개 콘텐츠는 '나도 흉내낼 수 있다'는 욕망을 자극하며 성공으로 이어졌습니다.
콘텐츠·커머스 연결방식은 코로나 확산으로 외출을 하지 않고 집에만 있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더욱 빛을 발했습니다. 오늘의 집 매출은 2018년 72억원에서 지난해 현재 1176억원까지 증가했으며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쇼핑 앱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2020년부터는 독자적인 물류센터를 확보해 지난해부터 직접 배송에도 나섰고 시공 중개, 이사 서비스까지 추가해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해외로 확대
한국 시장을 장악한 “오늘의 집(Today House)”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해외시장에서 찾고 있습니다. 일본에는 현지법인을 설립해 콘텐츠 매니저 채용도 시작했습니다. 주택수리업체인 “지부다”, 싱가포르의 온라인 가구 플랫폼 “Hipvan”을 인수하는 등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입니다.
오늘의 집 (Today House)을 운영하는 「Bucket place(버킷 플레이스)」이 대표는 "예전에 어느 외국인 이용자가 「오늘의 집(Today House)」에 영어로 글을 올린 것을 보고 「오늘의 집(Today House)」이 해외에도 진출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다양한 나라에서 서비스를 시험하면서 열린 방향으로 해외 사업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기업가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가구의 온라인 거래 활성화
이 대표는 “과거의 집은 잠을 자는 공간이었지만 지금은 라이프스타일의 중심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고 했으며 “오늘의 집은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삶의 취향과 일상을 공유하면서 영감을 교환하는 공간으로 성장할 것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고, 주거의 트렌드도 바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는 서비스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인테리어에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가구의 온라인 거래 활성화는 새로운 브랜드를 시작하고 도전하는 기업가에게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고급 가구를 만들어도 기업가가 판로 개척하는 것이 큰 장애물이었습니다. 대규모 자본을 던져 가구의 전시장을 마련해 백화점이나 대형 슈퍼에 출점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상점의 상승으로 앱과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자사 사이트를 시작할 수 있어 적은 자본금으로도 고객 접점을 직접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 매장이나 팝업 스토어 등을 전개함과 동시에 인터넷 판매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자사 쇼핑몰을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브랜드로 노하우를 쌓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새로운 상식이 되는 가구 온라인 쇼핑
전자상거래(EC) 시장은 놀라운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EC가 시작된 당초에는 주로 책과 같은 소비 기한이 없고 파손될 우려가 없는 상품이 거래되었지만, 지금은 가구와 같은 큰 상품까지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가구 온라인 시장 성장에 박차를 가하는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최근에는 가구 같은 인테리어 상품도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구와 인테리어 상품은 비교적 비싸고 메이커나 품질도 다양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직접 상품을 보고 나서 구입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만, 최근에는 그 경향이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으로 인해 홈 인테리어의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1000만회 다운로드 수를 기록한 인테리어 앱
코로나등의 영향으로 홈 인테리어 브랜드의 성장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홈 인테리어 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오늘의 집 (Today House)”의 모바일 앱은 4월 현재 1000만회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에서 1000만회의 다운로드수는 플랫폼으로서의 성공을 상징하는 숫자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만, 홈 인테리어 카테고리에서의 앱 다운로드수는 이것이 최초의 기록이 되었습니다. 오늘의 집 (Today House)의 경우, 등록자수도 5월의 시점에서 810만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오하우스(O!House) "란 무엇?
버킷 플레이스는 최근 일본에서 홈 커뮤니티 서비스 "오하우스 (O!House)의 시험 서비스를 발표했습니다. “오늘의 집(Today House)'의 일본어판입니다. 여러가지 패턴의 다양한 인테리어집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온라인 이사축하" 서비스에 가구판매를 연결하는 "오늘의 집(Today House)"은 “콘텐츠-커머스 모델"을 그대로 구현했습니다.
오늘의 집이란
오늘의 집은 이 대표가2014년 창업한 한국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 분야 앱입니다.
한국 내에서 "오늘의 집 (Today House)”이 유명해진 것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이용자 중심의”'온라인 이사 축하”가 '대히트'하고 나서입니다. 이용자가 개성적으로 장식한 자신의 집 사진을 직접 보여주면서 설명하는 콘텐츠로, 깨끗하게 장식한 집을 자랑하고 싶은 사람과, 다른 사람의 집을 구경하고 싶은 사람이 동시에 “오늘의 집(Today House) '에 모이게 되며 입소문으로 퍼졌습니다.
이 대표는 “처음엔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의 전문 콘텐츠를 공유하는 실험도 했지만, 가장 많은 사람들이 호응한 것은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어떻게 집을 꾸며 살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콘텐츠였다”고 말했습니다.
2016년에는 콘텐츠에 상거래 기능을 도입해서 온라인 이사 축하 사진 속 제품을 클릭하면 바로 구매까지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일반인의 일상적인 집 소개 콘텐츠는 '나도 흉내낼 수 있다'는 욕망을 자극하며 성공으로 이어졌습니다.
콘텐츠·커머스 연결방식은 코로나 확산으로 외출을 하지 않고 집에만 있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더욱 빛을 발했습니다. 오늘의 집 매출은 2018년 72억원에서 지난해 현재 1176억원까지 증가했으며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쇼핑 앱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2020년부터는 독자적인 물류센터를 확보해 지난해부터 직접 배송에도 나섰고 시공 중개, 이사 서비스까지 추가해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해외로 확대
한국 시장을 장악한 “오늘의 집(Today House)”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해외시장에서 찾고 있습니다. 일본에는 현지법인을 설립해 콘텐츠 매니저 채용도 시작했습니다. 주택수리업체인 “지부다”, 싱가포르의 온라인 가구 플랫폼 “Hipvan”을 인수하는 등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입니다.
오늘의 집 (Today House)을 운영하는 「Bucket place(버킷 플레이스)」이 대표는 "예전에 어느 외국인 이용자가 「오늘의 집(Today House)」에 영어로 글을 올린 것을 보고 「오늘의 집(Today House)」이 해외에도 진출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다양한 나라에서 서비스를 시험하면서 열린 방향으로 해외 사업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기업가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가구의 온라인 거래 활성화
이 대표는 “과거의 집은 잠을 자는 공간이었지만 지금은 라이프스타일의 중심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고 했으며 “오늘의 집은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삶의 취향과 일상을 공유하면서 영감을 교환하는 공간으로 성장할 것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고, 주거의 트렌드도 바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는 서비스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인테리어에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가구의 온라인 거래 활성화는 새로운 브랜드를 시작하고 도전하는 기업가에게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고급 가구를 만들어도 기업가가 판로 개척하는 것이 큰 장애물이었습니다. 대규모 자본을 던져 가구의 전시장을 마련해 백화점이나 대형 슈퍼에 출점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상점의 상승으로 앱과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자사 사이트를 시작할 수 있어 적은 자본금으로도 고객 접점을 직접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 매장이나 팝업 스토어 등을 전개함과 동시에 인터넷 판매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자사 쇼핑몰을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브랜드로 노하우를 쌓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