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의 베스트셀러 목록과 유튜브에는 "부자되는 법" "성공하는 법"으로 가득차 있다. 수백만명이 시청하고 수십만명이 그런 베셀을 읽는데 왜 정작 부자되고 성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까?
2. 물론, 방법론이 재현불가능하고 특수한 경우도 있고, 운의 요소를 배제한 이유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가 빠졌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것은 바로 "시간"
3. 수영을 배울때였다. 책을 좋아하는 나는 수영책을 사다가 읽었다. 수영을 잘하는 방법이 아주 잘 나와있었다. 원리도 복잡하지 않았다. 그러나 왠걸. 수영장에 막상 가니 되는게 하나도 없었다. 골프도 마찬가지. 방법론이 틀려서일까? 아니다. 그 방법론이 체화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의 요소가 필요한 것이다.
4. 그런데 무조건 한꺼번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고 성과가 좋을까?
학창시절 체육시간 턱걸이 시험을 본다고 했다. 한달 정도의 기간이 남았다. 이에 친구와 준비를 했는데 하루에 10분씩 한달을 꾸준히 하자 10개 이상을 할수 있었다. 들인 시간은 200분. 그러나 만일 하루에 10분씩이 아니라 몰아서 200분을 한번 연습하고 한달후 시험을 보았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당연히 1개도 못했을것이다.
5. 인시아드 경영대학원의 다이어릭 과 쿨 교수는 "시간단축의 비경제"라는 표현을 썼다. 이 말은 집중적 노력으로 단시간에 성장하려하면 동일한 노력을 장기적으로 기울인것만큼 효율을 내지 못한다는 말이다.
6. 쉽게 말하자면, 시간단축을 위해 단기적으로 엄청난 노력을 하는게 그리 경제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내가 일의격에서도 말한 "비효율적으로 보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7. 이 유튜브보고 이거 조금한 후 때려치고 저 책보고 저거 조금하고 때려치고 이 사람 말들고 이거 조금 하고 때려치는 식으로 해서는 내성만 키운다. 맘먹고 하루 이틀만 열심히 한다고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8. 시간이 필요하다. 저보고 글을 잘 쓴다는 분이 많으신데 10년동안 매주 2~4번 빠지지 않고 꾸준히 쓴 결과이다. 물론, 마음이 바쁘겠지만 지금은 100세 시대이다. 시간이 충분히 있다. 너무 단기간에 한꺼번에 다 얻으면 남은 인생 뭐 하며 살것인가? 꾸준히 뚜벅뚜벅 걸어가며 축적해나가자. 시간이 지나면 발산으로 보답받을 것이다.
1. 책의 베스트셀러 목록과 유튜브에는 "부자되는 법" "성공하는 법"으로 가득차 있다. 수백만명이 시청하고 수십만명이 그런 베셀을 읽는데 왜 정작 부자되고 성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까?
2. 물론, 방법론이 재현불가능하고 특수한 경우도 있고, 운의 요소를 배제한 이유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가 빠졌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것은 바로 "시간"
3. 수영을 배울때였다. 책을 좋아하는 나는 수영책을 사다가 읽었다. 수영을 잘하는 방법이 아주 잘 나와있었다. 원리도 복잡하지 않았다. 그러나 왠걸. 수영장에 막상 가니 되는게 하나도 없었다. 골프도 마찬가지. 방법론이 틀려서일까? 아니다. 그 방법론이 체화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의 요소가 필요한 것이다.
4. 그런데 무조건 한꺼번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고 성과가 좋을까?
학창시절 체육시간 턱걸이 시험을 본다고 했다. 한달 정도의 기간이 남았다. 이에 친구와 준비를 했는데 하루에 10분씩 한달을 꾸준히 하자 10개 이상을 할수 있었다. 들인 시간은 200분. 그러나 만일 하루에 10분씩이 아니라 몰아서 200분을 한번 연습하고 한달후 시험을 보았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당연히 1개도 못했을것이다.
5. 인시아드 경영대학원의 다이어릭 과 쿨 교수는 "시간단축의 비경제"라는 표현을 썼다. 이 말은 집중적 노력으로 단시간에 성장하려하면 동일한 노력을 장기적으로 기울인것만큼 효율을 내지 못한다는 말이다.
6. 쉽게 말하자면, 시간단축을 위해 단기적으로 엄청난 노력을 하는게 그리 경제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내가 일의격에서도 말한 "비효율적으로 보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7. 이 유튜브보고 이거 조금한 후 때려치고 저 책보고 저거 조금하고 때려치고 이 사람 말들고 이거 조금 하고 때려치는 식으로 해서는 내성만 키운다. 맘먹고 하루 이틀만 열심히 한다고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8. 시간이 필요하다. 저보고 글을 잘 쓴다는 분이 많으신데 10년동안 매주 2~4번 빠지지 않고 꾸준히 쓴 결과이다. 물론, 마음이 바쁘겠지만 지금은 100세 시대이다. 시간이 충분히 있다. 너무 단기간에 한꺼번에 다 얻으면 남은 인생 뭐 하며 살것인가? 꾸준히 뚜벅뚜벅 걸어가며 축적해나가자. 시간이 지나면 발산으로 보답받을 것이다.